20140912 sss벙커1강의. 뇌는 왜 사랑에 빠졌을까
기억나는 강의내용
- 단삼 : 운동 없이도 살을 빼주고 근육을 만드는 성분이 있다. 연구중.
- 칵테일 파티 효과 (혼잡스런 파티장에서도 사람들은 자기 이름과 성적인 단어는 잘들린다.)
- 번식만을 위해 사랑이 필요한가. 이성(뇌)는 이성에게 다가가는 걸 막는다.
- 사랑은 뇌가 변하는 과정 Helen Fisher 욕정 -> 끌림 -> 애착
- 남자의 뇌와 여성의 뇌
- 남성의 뇌 : 자극이 중요하다. 비슷하면 이끌려 사랑을 한다.
- 고정행동패턴(FAP) : Fixed action pattern
- 남성호르몬은 면역력을 약하게 한다.
- 애착의 발달
- NGF : 뇌를 바꾸는 물질 - 뇌의 회로를 바꾼다. 신경회로를 다시짠다.
- 로맨틱 러브 : 일부일처제를 하는 병아리는 (암수가)보통 닮았다.
- 수컷이 더 화려한 경우 보통 일부 다처제 e.g.사슴 (그 반대도 성립)
- 모계중식 집단사회 - 여왕체제 e.g. 여왕체제인 아프리카쥐의 경우 여왕을 위해 일만 하는 수컷은 장님에 통증을 못느끼고 장수한다.
- 프레리볼 : 부부생활을 하는 들쥐, 바소프레신 미도우(바람피는)볼 : 혼자 바람피우는 수컷은 보통 길을 잘 찾는다.
- 사랑은 Information -> 경험 이익으로 인한 경험은 정보가 된다.
- 뇌는 동시자극을 연관시킨다. Binding problem e.g. 할머니
- 시상액을 통해 감각이 다른 곳으로 전달된다. Thalamus
- Fancis Crick 인식은 시상액과 대뇌피질의 상호작용.
- 동시에 들어온 소리와 영상을 인식하는 뇌.
Little Albert 실험 : 아이에게 토끼 + 큰소리 자극을 주어 아이가 토끼를 무서워하게 되고 나중에 살인자가 됨. - 시냅스를 통한 패턴완성 e.g.영화 번지점프를 하다.
- 연결시키는 뇌 : 패턴완성이론.
- 시냅스 유. 수성유전자
- 사랑회로의 기능 : 물건에 대한 애착. Jaak Panksepp 쥐의 초음파웃음. 영상 youtube
- 분노외 사랑은 서로 이웃이다. : 동시에 존재할 수 없는 상태.
- 거울신경 : 보는 것만으로 온기를 느낀다.
- USV : 반가움의 표현
- ACC는 친구의 고통을 교감한다.
끝나고 질문타임.
내 질문 Q1. 사랑은 인간만 하나요? Q2. 사랑 없이도 번식이 가능하다면 왜 유전과정에 사랑이 생겼나요?
A1. 실험 결과 파충류부터 감정을 느낀다고 합니다. A2. 사랑을 통해 복잡한 선택을 단순화 할 수 있습니다. 좋은 배우자를 선택하는 과정은 복잡하지만 사랑의 감정으로 우리는 ‘좋다’라고 느끼게 됩니다. 이는 생물이 물을 좋아하거나, 맛있는 음식을 좋아하는 것과도 같습니다.(정확하지는 않지만 이런 식으로 대답을 들음.)